재교정은 반드시 교정전문의에게
여러 이유 때문에
다시 교정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성공적인 재교정을
위해서는
환자와의 원활한 소통과 함께
교정전문의의
깊이 있고 폭넓은
임상경험이 필요합니다.
꾸준히 교정장치를 부착하고 있었더라도
치아는 계속 원래 자리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유지장치의 장착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고정식 유지장치는 교정기간의 약 2~3배 정도의 기간동안 장착할 것을 권하고 있으며,
가철식 유지장치는 6개월 ~ 1년 가량은 식사 시간을 제외한 24시간, 이후로는 조금씩 줄여 나가 잘 때만 장착하는 것으로 권고하고 있습니다.
주로 돌출입이 심한 환자의 치아교정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아의 뿌리 부분도 함께 안쪽으로 들어가
안모의 균형이 맞춰져야 하는데,
치아의 교합면 안쪽으로 쓰러지듯 밀려 들어가 옥니가 되어 버립니다.
치아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전문용어로 '토크 컨트롤' 이라 하는 데,
이런 경우는 쓰러진 치아를 다시 바깥으로 빼내서 세우고 적절한 치아 각도를 다시 잡은 다음
치아의 뿌리(치근) 부분과 함께 안쪽으로 밀어 넣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교정치료가 완료되고 나서
골격의 성장이 이뤄지는 경우
치아는 전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습니다.
유지장치를 꾸준히 착용하면 덜하겠지만, 유지장치를 기피함으로 틀어지는 정도는 더 클 수 밖에 없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잇몸질환 등의 원인으로
가지런한 치아가 틀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교정치료를 이미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이유로 다시 교정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재교정이라 하며,
성공적인 재교정을 위해서는
환자와의 원활한 소통과 함께
교정전문의의
깊이 있고 폭넓은 임상능력이 요구됩니다.
아름다움과 건강함을
전문의가 선사합니다.